상완골의 과상 골절은 어린이에게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이며 상완골 간부와 상완골의 연결부에서 발생합니다.상완과두.
임상 증상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며, 손상 후 국소적인 통증, 부기, 압통, 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전위 골절은 명확한 징후가 없으며, 팔꿈치 삼출물이 유일한 임상 징후일 수 있습니다. 팔꿈치 근육 아래의 관절낭은 가장 표층이며, 관절 삼출물 발생 시 연부 관절낭(softspot이라고도 함)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유연성 지점은 일반적으로 요골두 중심과 주두 끝을 연결하는 선의 앞쪽에 있습니다.
과상골 3형 골절의 경우, 팔꿈치에 두 개의 각진 변형이 나타나 S자 모양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원위 상완부 앞쪽에 피하 멍이 들며, 골절이 완전히 전위된 경우 골절 원위부가 상완근을 관통하여 피하 출혈이 더욱 심해집니다. 결과적으로 팔꿈치 앞쪽에 주름 징후(pucker sign)가 나타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골절 근위부의 골 돌출부가 진피를 관통함을 나타냅니다. 요골 신경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의 등쪽 신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정중 신경 손상은 엄지손가락과 검지를 능동적으로 굽히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척골 신경 손상은 손가락 분할 제한 및 협착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진단
(1) 진단기준
① 외상 병력이 있음 ② 임상 증상 및 징후: 국소 통증, 부기, 압통 및 기능 장애 ③ 엑스레이에서 상완골의 과상 골절선과 변위된 골절 조각이 보임.
(2) 감별진단
식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팔꿈치 탈구, 하지만 팔꿈치 탈구에서 발생한 신전성 상과골 골절의 식별은 어렵습니다. 상완골의 상과골 골절에서 상완골의 상과골은 주두와 정상적인 해부학적 관계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팔꿈치 탈구에서는 주두가 상완골의 상과골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더 두드러집니다. 상과골 골절과 비교할 때 팔꿈치 탈구에서 전완의 돌출은 더 원위입니다. 골 마찰음의 존재 여부도 팔꿈치 관절 탈구에서 발생한 상완골의 상과골 골절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때로는 골 마찰음을 유발하기 어렵습니다. 심한 부기와 통증 때문에 골 마찰음을 유발하는 조작은 종종 아이가 울게 합니다. 신경혈관 손상의 위험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 마찰음을 유발하는 조작은 피해야 합니다. X선 검사가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표준 분류는 신전과 굴곡으로 구분하는 것입니다. 굴곡형은 드물며, 측면 X-선 촬영에서 골절의 원위부가 상완골 간부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직선형은 흔하며, 가틀랜드는 이를 I형에서 III형으로 구분합니다(표 1).
유형 | 임상 증상 |
ⅠA형 | 변위, 역전 또는 외반이 없는 골절 |
ⅠB형 | 경미한 변위, 내측 피질 플루팅, 상완골 머리를 통과하는 전방 상완골 경계선 |
ⅡA형 | 과신전, 후방 피질 무결성, 전방 상완골 경계선 뒤에 있는 상완골 두부, 회전 없음 |
ⅡB형 | 골절의 양쪽 끝에서 부분 접촉이 있는 종방향 또는 회전 변위 |
ⅢA형 | 피질 접촉 없이 완전한 후방 변위, 대부분 원위에서 중앙 후방 변위 |
ⅢB형 | 명확한 변위, 골절 끝부분에 연조직이 박혀 있음, 골절 끝부분의 상당한 중첩 또는 회전 변위 |
표 1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Gartland 분류
대하다
최적의 치료를 하기 전에 팔꿈치 관절을 20°~30° 굴곡 위치로 임시 고정해야 합니다. 이는 환자에게 편안할 뿐만 아니라 신경혈관 구조의 긴장을 최소화합니다.
(1) 1형 상완골 상과골절: 외고정을 위해 석고붕대나 석고붕대만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팔꿈치를 90° 굽히고 전완을 중립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외고정을 위해 장완 석고붕대를 3~4주간 사용한다.
(2) 제2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 이 유형의 골절 치료에서 주관절 과신전 및 각 형성의 수동적 정복 및 교정은 핵심 과제입니다. °) 고정은 정복 후 위치를 유지하지만, 환부의 신경혈관 손상 및 급성 근막 구획 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경피적키르슈너 와이어 고정골절을 폐쇄 환원한 후(그림 1) 안전한 위치(팔꿈치 굴곡 60°)에서 석고 깁스를 이용한 외부 고정이 가장 좋습니다.
그림 1 경피적 키르슈너 와이어 고정의 이미지
(3) 제3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 모든 제3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경피적 키르슈너 강선 고정술로 정복합니다. 이는 현재 제3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표준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비관혈적 정복과 경피적 키르슈너 강선 고정술이 가능하지만, 연조직 매몰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정복할 수 없거나 상완동맥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관혈적 정복술이 필요합니다(그림 2).
그림 5-3 상완골 상과골 골절의 수술 전 및 수술 후 X선 필름
상완골 상과골절의 개방적 정복을 위한 수술적 접근법은 4가지가 있습니다: (1) 외측 팔꿈치 접근법(전외측 접근법 포함); (2) 내측 팔꿈치 접근법; (3) 내측 및 외측 팔꿈치 접근법의 결합; (4) 후방 팔꿈치 접근법.
외측 주관절 접근법과 내측 접근법 모두 조직 손상이 적고 해부학적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내측 절개는 외측 절개보다 안전하며 척골 신경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두 방법 모두 절개 부위 반대쪽의 골절을 직접 볼 수 없고, 손으로 만져서만 골절을 정복하고 고정할 수 있어 시술자에게 고도의 수술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후방 주관절 접근법은 삼두근의 완전성 파괴와 더 큰 손상으로 인해 논란이 되어 왔습니다. 내측 및 외측 주관절의 복합 접근법은 절개 부위 반대쪽 골 표면을 직접 볼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내측 및 외측 주관절 절개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골절 정복 및 고정에 도움이 되며, 외측 절개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조직 부종의 완화 및 침강에 도움이 되지만, 수술 절개 부위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후방 접근법보다 높습니다.
복잡
상완과두 골절의 합병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 신경혈관 손상; (2) 급성 중격 증후군; (3) 팔꿈치 경직; (4) 골화성 근염; (5) 무혈성 괴사; (6) 외반족 변형; (7) 외반족 변형.
요약하다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입니다. 최근 들어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불완전한 정복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내반주 또는 외반주가 정복 불량보다는 원위 상완골 골단판의 성장 정지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강력한 근거는 불완전한 골절 정복이 내반주 변형의 중요한 요인임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정복, 척골 편위 교정, 수평 회전, 그리고 원위 상완골 높이 회복이 핵심입니다.
상완골 상과골절의 치료방법은 수동정복술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외부 고정석고붕대, 주두 견인, 스플린트를 이용한 외고정,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그리고 폐쇄적 정복 및 내고정을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도수적 정복과 석고 외고정이 주요 치료였으며, 중국에서는 내반족이 50%에 달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현재 제2형 및 제3형 과상골절의 경우, 골절 정복 후 경피적 바늘 고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경피적 바늘 고정은 혈액 공급을 방해하지 않고 골 유합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골절의 폐쇄적 정복 후 키르슈너 강선 고정 방법과 최적의 개수에 대한 의견도 분분합니다. 편집자의 경험에 따르면 고정 시 키르슈너 강선은 서로 분기되어야 합니다. 골절면이 멀수록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키르슈너 강선은 골절면에서 교차해서는 안 됩니다. 교차하면 회전이 제어되지 않고 고정이 불안정해집니다. 내측 키르슈너 강선을 사용할 때는 척골 신경 손상을 방지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팔꿈치를 굽힌 상태에서 바늘에 바늘을 꿰지 말고, 팔꿈치를 약간 펴서 척골 신경이 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후 엄지손가락으로 척골 신경을 짚고 뒤로 밀어 K-강선을 안전하게 꿰어야 합니다. 교차 키르슈너 강선 내고정은 수술 후 기능 회복, 골절 치유율, 그리고 우수한 골절 치유율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어 조기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게시 시간: 2022년 11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