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외측 L 접근법은 종골 골절 수술의 고전적인 접근법입니다. 노출이 깊지만 절개 부위가 길고 연조직이 더 많이 제거되어 연조직 유합 지연, 괴사, 감염 등의 합병증이 쉽게 발생합니다. 최근 사회의 최소 침습적 심미성 추구 추세와 더불어 종골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수술 치료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8가지 팁을 정리했습니다.
넓은 측면 접근법을 사용하는 경우, 절개의 수직 부분은 종아리뼈 끝의 약간 근위부, 아킬레스건의 앞쪽에서 시작합니다. 절개 부위는 외측 종골 동맥이 공급하는 멍든 피부 바로 원위부로 절개하여 다섯 번째 중족골 기저부에 삽입합니다. 두 부분은 발꿈치에서 연결되어 약간 직각을 이룹니다. 출처: 캠벨 정형외과
P경피적 찌르기 정복
1920년대에 뵐러는 견인 하에 발꿈치를 환원하는 최소 침습적 치료법을 개발하였고, 그 후 오랫동안 견인 하에 경피적 찔러넣기 환원이 발꿈치 골절 치료의 주류가 되었습니다.
이 치료법은 Sanders II형 및 일부 Sanders III형 혀 골절과 같이 하악관절에서 관절내 파편의 변위가 적은 골절에 적합합니다.
심각한 비골하 관절면 붕괴를 동반한 샌더스 3형 골절과 분쇄형 샌더스 4형 골절의 경우, 찌르기 정복은 어렵고 발꿈치뼈 후방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을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종골의 폭을 회복하기 어렵고, 변형은 잘 교정되지 않습니다. 종골 외측벽이 다양한 정도로 손상되어, 하부 외측 복사뼈가 종골 외측벽에 부딪히고, 장비골건이 변위되거나 압박되며, 종골건이 충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후군, 종골 충돌 통증, 장비골건염 등이 있습니다.
Westhues/Essex-lopresti 기법. A. 측면 투시 검사에서 혀 모양 골절의 붕괴가 확인되었다. B. 수평면 CT 스캔에서 Sandess IIC형 골절이 관찰되었다. 두 영상 모두 종골 전방부가 명확하게 분쇄되었다. S. 이동 거리가 갑작스러웠다.
C. 심각한 연조직 부종과 물집으로 인해 측면 절개를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D. 관절면(점선)과 비골 붕괴(실선)를 보여주는 측면 투시 검사입니다.
E와 F. 두 개의 속이 빈 손톱 가이드 와이어가 혀 모양 조각의 아랫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점선은 관절선입니다.
G. 무릎 관절을 굽히고 가이드 핀을 들어 올리면서 동시에 중족부를 족저굴곡시켜 골절을 정복합니다. H. 6.5mm 캐뉼라 나사 1개를 입방골에 고정하고 2.0mm 커쉬너 와이어 2개를 스팬 아래에 연결하여 발꿈치 전방 분쇄로 인한 정복을 유지했습니다. 출처: Mann Foot and Ankle Surgery.
S발목뼈 절개
절개는 종아리뼈 끝에서 네 번째 중족골 기저부까지 1cm 원위부에 이루어집니다. 1948년, Palmer는 족근동(sinus tarsi)에 작은 절개를 처음 보고했습니다.
2000년에 Ebmheim 등은 발꿈치 골절의 임상 치료에 타살동 접근법을 사용했습니다.
o 하부 비골 관절, 후방 관절면 및 전방 외측 골절 차단을 완전히 노출할 수 있습니다.
o 측면 발꿈치 혈관을 적절히 피하십시오.
o 종아리 인대와 비골하 지지대를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수술 시 적절한 역전을 통해 관절 간격을 늘릴 수 있어 절개 부위가 작고 출혈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노출이 현저히 부족하여 골절 정복 및 내부 고정술 시행에 제한을 주고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샌더스 1형 및 2형 종골 골절에만 적합합니다.
O사선 소절개
발목뼈 외측 아래 2cm 지점에 중심을 두고 관절 후면과 평행하게 약 4cm 길이의 족근동 절개를 변형한 것입니다.
수술 전 준비가 충분하고 조건이 허락한다면, 샌더스 2형 및 3형 관절내 발꿈치 골절에도 좋은 정복 및 고정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하비골하 관절 융합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동일한 절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T 비골건. PF 종골의 후방 관절면. S 족근동. AP 종골 돌출. .
후방 종단 절개
아킬레스건과 외측 발목뼈 끝 사이의 선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수직으로 아래로 비골 발꿈치 관절까지 뻗어 있으며, 길이는 약 3.5cm입니다.
중요한 구조물의 손상 없이 먼 연부조직의 절개를 최소화하고, 후방 관절면을 잘 노출시킵니다. 경피적 절개 및 정복 후, 수술 중 투시 하에 해부학적 보드를 삽입하고, 경피적 나사를 가볍게 두드려 고정했습니다.
이 방법은 샌더스 유형 I, II, III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변위된 후방 관절면이나 결절성 골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헤링본 컷
족근동 절개 변형술. 외측 복사뼈 끝에서 3cm 위부터 종아리뼈 뒤쪽 경계를 따라 외측 복사뼈 끝, 그리고 네 번째 중족골 기저부까지 절개합니다. 샌더스 2형 및 3형 종골 골절의 양호한 정복 및 고정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종아리뼈, 거골, 또는 발의 외측 기둥을 노출시키기 위해 연장할 수 있습니다.
LM 외측 발목. MT 중족골 관절. SPR 비골지지띠.
A내시경 보조 환원술
1997년, Rammelt는 거골하 관절경을 이용하여 직접 시야 하에서 종골의 후방 관절면을 정복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2002년, Rammelt는 Sanders 1형 및 2형 골절에 대해 관절경 보조 경피적 정복 및 나사 고정술을 최초로 시행했습니다.
거골하 관절경 검사는 주로 모니터링 및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거골하 관절면의 상태를 직접 관찰하여 정복 및 내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단순 거골하 관절 박리술 및 골극 절제술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적응증은 좁습니다. 관절면의 경미한 분쇄와 AO/OTA 유형 83-C2 골절이 있는 Sanders 유형 Ⅱ에만 적용됩니다. 반면, 관절면 붕괴가 있는 Sanders 유형 Ⅲ, Ⅳ 및 AO/OTA 유형 83-C3 골절(예: 83-C4 및 83-C4)은 수술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신체 위치
b. 후방 발목 관절경 검사. c. 골절 부위 및 거골하관절 접근.
샨츠 나사가 삽입되었습니다.
e. 재설정 및 임시 고정. f. 재설정 후.
g. 관절면 골 블록을 임시로 고정합니다. h. 나사로 고정합니다.
i. 수술 후 시상면 CT 스캔. j. 수술 후 축 방향 원근법.
또한, 하비골관절 공간이 좁아 관절경을 삽입하기 쉽도록 관절 공간을 지지해 줄 견인이나 브래킷이 필요합니다. 관절 내 조작 공간이 좁고 부주의한 조작으로 인해 의인성 연골 표면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숙련되지 않은 수술 기술은 국소적 손상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P경피 풍선 혈관성형술
2009년 바노(Bano)는 종골 골절 치료를 위해 풍선 확장술을 처음 제안했습니다. 샌더스 2형 골절의 경우, 대부분의 문헌에서 그 효과가 확실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골절은 더 어렵습니다.
수술 중 골 시멘트가 하비골 관절 공간으로 침투하면 관절면의 마모와 관절 운동 제한이 발생하고, 풍선 확장은 골절 정복에 균형을 이루지 못합니다.
투시검사 하에 캐뉼라와 가이드 와이어 배치
에어백 팽창 전후 이미지
수술 후 2년 후의 엑스레이와 CT 이미지입니다.
현재 풍선 기술 연구 표본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으며, 좋은 결과를 보이는 골절은 대부분 저에너지 충격에 의해 발생합니다. 심각한 골절 전위를 동반한 종골 골절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해당 연구는 단기간 진행되었으며, 장기적인 효능과 합병증은 아직 불분명합니다.
C알카네움 골수강내 손톱
2010년에는 종골 골수강내 금속정이 개발되었고, 2012년에는 M. Goldzak이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종골 골절의 최소 침습적 치료를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골수강내 금속정으로는 정복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위치 가이드 핀 삽입, 투시
위치 프레임을 놓고 골수강 내 못을 박고 5mm 캐뉼라 나사 2개로 고정합니다.
골수내 못 삽입 후의 관점.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종골의 샌더스 II형 및 III형 골절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의사들이 샌더스 IV형 골절에도 적용하려고 시도했지만, 정복 수술이 어려웠고 이상적인 정복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담당자: 요요
WA/전화:+8615682071283
게시일: 2023년 5월 31일